리눅스 명령어 ln 사용법
소개
리눅스는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파일 및 디렉토리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중 ln 명령어는 symbolic link 또는 hard link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ln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symbolic link
Symbolic link는 기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링크로, 심볼릭 링크를 만들기 위해 ln -s 옵션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symbolic link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ln -s /path/to/original/file /path/to/link
위 명령어는 /path/to/link라는 symbolic link를 생성하고 /path/to/original/file을 가리키도록 합니다. 이제 /path/to/link를 사용하여 /path/to/original/file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hard link
Hard link는 실제 파일 자체에 대한 링크로, ln 명령어를 사용하여 생성됩니다. 이 경우, symbolic link와 달리 기존 파일이 나중에 삭제되어도 hard link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hard link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ln /path/to/original/file /path/to/link
위 명령어는 /path/to/link라는 hard link를 생성하고 /path/to/original/file을 가리키도록 합니다. 이제 /path/to/link와 /path/to/original/file은 동일한 파일에 대한 링크입니다.
예시
Symbolic link와 hard link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home/user1/original.txt라는 파일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파일에 대한 symbolic link와 hard link를 각각 생성해보겠습니다.
$ ln -s /home/user1/original.txt /home/user2/symbolic.txt
$ ln /home/user1/original.txt /home/user2/hard.txt
이제 /home/user2 디렉토리에 symbolic.txt와 hard.txt라는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원본 파일을 삭제해보겠습니다.
$ rm /home/user1/original.txt
실행 결과, symbolic.txt는 원본 파일이 없기 때문에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반면에 hard.txt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결론
ln 명령어는 symbolic link와 hard link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symbolic link는 기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링크이고, hard link는 실제 파일 자체에 대한 링크입니다. 이 두 가지 유형의 링크는 각각의 특징이 있으며, 적절한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합니다.
'IT > Linux and Raspberry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cp 사용법 (0) | 2023.02.25 |
---|---|
리눅스 명령어 vi 사용법 (0) | 2023.02.25 |
리눅스 명령어 yum 사용법 (0) | 2023.02.25 |
리눅스 명령어 netstat 사용법 (0) | 2023.02.25 |
리눅스 명령어 ps 사용법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