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nux and RaspberryPi

리눅스 명령어 tee 사용법

by e"sungjin 2023. 3. 10.
SMALL

리눅스 명령어 tee 사용법

소개

리눅스에서는 CLI(Command Line Interface)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파일의 출력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동시에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tee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tee 명령어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ee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

tee 명령어는 입력 받은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동시에 파일로 저장합니다. 그래서 tee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파일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tee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mmand] | tee [파일 경로]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의 출력 결과가 화면에 출력되면서 동시에 [파일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에도 저장됩니다.

tee 명령어 옵션

tee 명령어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a 옵션

  • a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에 내용을 추가로 저장합니다. 즉, 기존 파일에 내용을 이어서 저장합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 [Command] | tee -a [파일 경로]

i 옵션

  • i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의 기존 내용을 덮어쓰지 않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합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 [Command] | tee -i [파일 경로]

tee 명령어의 활용

tee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파일에 내용을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 ls | tee ls_result.txt

위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동시에 ls_result.txt 파일에도 저장합니다. 이후에 ls_result.txt 파일을 열어서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리눅스에서는 CLI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tee 명령어는 파일의 출력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동시에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파일에 내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ee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옵션, 그리고 활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