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Linux and RaspberryPi

리눅스 명령어 vmstat 사용법

by e"sungjin 2023. 3. 10.
SMALL

리눅스 명령어 vmstat 사용법

소개

리눅스에서 시스템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합니다.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문제가 발생할 때, 이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 중 하나가 vmstat 명령어입니다. vmstat 명령어는 메모리, CPU, 디스크, 스왑 등의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사용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vmstat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vmstat 명령어 사용법

vmstat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옵션을 제공합니다.

  • a : 모든 디스크 활동 정보 표시
  • d : 디스크 통계 표시
  • f : 포크된 프로세스 수 표시
  • m : 메모리 사용량 통계 표시
  • n : 가용한 파일 핸들러, 네트워크, IPC 자원 및 상태 표시
  • p : 프로세스별 상태 정보 표시
  • s : 스왑 통계 표시
  • t : 스레드별 상태 정보 표시
  • V : 버전 정보 표시

vmstat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vmstat [options] [delay] [count]

여기서 delay는 각 출력 사이의 지연 시간(초)을 의미하며, count는 출력 횟수를 나타냅니다.

vmstat 명령어의 출력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

  • procs : 프로세스 관련 정보
  • memory : 메모리 사용량 정보
  • swap : 스왑 사용량 정보
  • io : 디스크와 관련된 입출력 정보
  • system : CPU 사용량 정보
  • cpu : CPU 사용량 정보

이 중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정보는 CPU 사용량 정보입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CPU 사용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vmstat 1 5

위 명령어는 1초마다 5번의 출력을 수행합니다.

결론

이번 게시물에서는 리눅스 명령어 vmstat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vmstat은 시스템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vmstat 명령어를 사용하여 CPU, 메모리, 디스크, 스왑 등의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