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소개
R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강력한 통계 소프트웨어입니다. R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다루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며, ls 명령어를 이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R 객체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 명령어란?
ls는 "list"의 약어로, 현재 R 작업 공간에 생성된 객체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작업 공간에 저장된 변수, 함수, 데이터 프레임 등 모든 객체를 나열합니다.
ls 명령어 사용법
ls 명령어는 매우 간단합니다. 단순히 "ls()"를 입력하면 현재 R 작업 공간에 있는 모든 객체의 이름이 출력됩니다. 이 때, ls() 안에 객체의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객체의 이름만 출력됩니다.
ls 명령어 예제
다음은 ls 명령어를 사용한 예제입니다.
# 데이터 불러오기
data <- read.csv("data.csv")
# 변수 생성
x <- c(1, 2, 3)
y <- c(4, 5, 6)
# 함수 생성
add <- function(a, b) {
return(a + b)
}
# ls 명령어 사용
ls()
# 결과 출력
[1] "add" "data" "x" "y"
위 예제에서 ls()를 입력하면 현재 R 작업 공간에 있는 모든 객체의 이름이 출력됩니다. 결과를 보면 "add", "data", "x", "y" 4개의 객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
R에서 ls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R 객체들의 목록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R 작업 공간에 저장된 변수, 함수, 데이터 프레임 등 모든 객체를 나열하고, 해당 객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ST
'IT > R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R 명령어 "log10" (0) | 2023.06.15 |
---|---|
통계 R 명령어 "rm" (0) | 2023.06.15 |
R 명령어 "getwd"를 이용한 작업 디렉토리 확인 (0) | 2023.06.15 |
통계 R 함수 ‘“prod” (0) | 2023.03.06 |
통계 R 함수 “length”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