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R 데이터 분석

R 명령어 "c"를 이용한 수동 데이터 입력

by e"sungjin 2023. 6. 15.
SMALL

소개

R은 데이터 분석에 매우 유용한 통계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중 하나인 "c" 명령어를 소개하고, 그 활용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c" 명령어란?

R에서 "c"는 concatenate의 약자로,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벡터(vector)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c" 명령어를 사용하여 벡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x <- c(1, 2, 3, 4, 5)
y <- c("a", "b", "c", "d", "e")

이렇게 만들어진 벡터 x와 y는 각각 숫자와 문자열을 원소로 갖는 벡터입니다.

수동 데이터 입력

R에서 수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려면, "c" 명령어를 사용하여 벡터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벡터를 만들어 수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z <- c(10, 20, 30, 40, 50)

이렇게 만들어진 벡터 z는 10, 20, 30, 40, 50의 값을 원소로 갖는 벡터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벡터는 다양한 R 함수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

이번 포스트에서는 R에서 수동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중 하나인 "c" 명령어를 다뤄보았습니다. "c" 명령어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벡터로 묶을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LIST

'IT > R 데이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R 명령어 "sd"  (0) 2023.06.15
통계 R 명령어 "mean"  (0) 2023.06.15
통계 R 명령어 "log10"  (0) 2023.06.15
통계 R 명령어 "rm"  (0) 2023.06.15
R의 ls 명령어를 이용한 통계 분석  (0) 20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