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전체 글248 리눅스 명령어 ufw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ufw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에서 방화벽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도구 중에서 ufw(Uncomplicated Firewall)는 사용하기 쉬운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ufw를 사용하여 리눅스 환경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fw 설치 및 활성화 ufw는 대부분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ufw ufw를 활성화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ufw enable ufw 규칙 추가 및 삭제 ufw를 사용하여 방화벽 규칙을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ufw allow [포트번호/서비스.. 2023. 2. 26. 리눅스 명령어 wget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wget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에서 wget은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어로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wget의 사용법과 함께 몇 가지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wget의 기본 사용법 wget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wget [옵션] [URL] 여기서 URL은 다운로드하려는 파일의 주소를 의미합니다. 옵션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가장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O: 다운로드한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P: 다운로드한 파일을 저장할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r: 재귀적으로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np: 부모 디렉토리까지만 다운로드합니다. nc: 이미 다운로드한 파일은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습니다. 예제 1: 파일 다운로드 다음은 wget을 사용하여 파일.. 2023. 2. 26. 리눅스 명령어 traceroute 사용 방법 Linux 명령어 - traceroute 사용 방법 소개 traceroute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 패킷이 어떠한 경로로 이동하는지를 추적하는 유틸리티입니다. 이것은 서버나 웹사이트와 통신 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사용 방법 traceroute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세요. 터미널을 열고 명령어 "traceroute"를 입력하세요. 웹사이트 도메인 주소나 서버 IP 주소를 입력하세요. 명령어 실행 후 몇 초 후 결과가 출력됩니다. 보통 traceroute는 30개의 패킷을 보내고 그 결과를 보여줍니다. 결과는 패킷의 출발지, 목적지, 그리고 패킷이 거치는 모든 라우터의 IP 주소가 포함됩니다. 옵션 traceroute 명령어에는 여러 옵션이 있습니다. .. 2023. 2. 26. 리눅스 명령어 ifconfig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ifconfig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ifconfig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ifconfig란? ifconfig 명령어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넷마스크, 브로드캐스트 주소, MAC 주소 등을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ifconfig 사용 방법 ifconfig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구문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config [interface] [options] 여기서 interface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2023. 2. 26. 리눅스 명령어 chown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chown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 관리를 위해 사용자와 그룹을 지정합니다. 이때 chown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hown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hown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 chown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chown [옵션] [소유자]:[그룹] 파일 또는 디렉토리 예를 들어, 파일 'file.txt'의 소유자를 'user1'로, 그룹을 'group1'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hown user1:group1 file.txt 만약 디렉토리 'dir'과 그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들의 소유자를 'user2'로.. 2023. 2. 26. 리눅스 명령어 chmod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chmod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chmod 명령어가 제공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리눅스 명령어 chmod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권한 표기법 chmod 명령어를 사용하기 전에는 권한을 표기하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리눅스에서는 3가지 종류의 권한이 있습니다: 읽기(r), 쓰기(w), 실행(x). 이 권한은 파일 소유자, 그룹 사용자, 다른 모든 사용자에게 각각 적용됩니다. 각 권한은 숫자로 표기될 수 있는데, 읽기는 4, 쓰기는 2, 실행은 1로 표기됩니다. 이 숫자들을 조합하여 권한을 표기하며, 소유자, 그룹 사용자, .. 2023. 2. 26.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2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