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IT/Linux and RaspberryPi97 리눅스 Network 상태 확인 리눅스 Network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에서는 다양한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네트워크 상태 확인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ifconfig ifconfig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 어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각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 MAC 주소, 네트워크 마스크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ing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호스트나 라우터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응답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tstat netstat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 2023. 3. 5. 리눅스 Service / Daemon 상태 확인 리눅스 Service / Daemon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에서 Service / Daemon은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Service / Daemon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Service / Daemon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ervice 상태 확인 리눅스에서 Service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systemctl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service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systemctl 명령어 systemctl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모든 Service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tpdSer.. 2023. 3. 5. 리눅스 Process 상태 확인 리눅스 Process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는 많은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리눅스에서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s 명령어를 이용한 프로세스 상태 확인 리눅스에서는 ps 명령어를 이용하여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s 명령어를 실행하면 프로세스 ID (PID), 프로세스 이름,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ps 명령어에 다양한 옵션을 추가하여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s aux' 명령어를 사용하면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p .. 2023. 3. 5. 리눅스 Memory 상태 확인 리눅스 Memory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는 사용자가 시스템의 메모리 상태를 확인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메모리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과 관련 도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ree 명령어 리눅스에서는 free 명령어를 사용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e 명령어는 시스템의 전체 메모리 사용량, 사용 중인 메모리, 여유 메모리 등을 보여주는 정보를 출력합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free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2000904 402012 410156 17588 1188736 1403020 Swap: 1048572 0 1.. 2023. 3. 5. 리눅스 CPU 상태 확인 리눅스 CPU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 시스템에서 CPU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사용 가능한 자원의 양을 파악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CPU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p 명령어 사용하기 top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세스 모니터링 도구 중 하나입니다. top을 실행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목록과 각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top의 화면에는 시스템 전체의 CPU 사용률이 표시됩니다. top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터미널에서 top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프로세스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CPU 사용률은 %CPU 열에서 확인할.. 2023. 3. 5. 리눅스 Log Rotation 리눅스 Log Rotation 소개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로그 파일을 생성하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기록합니다. 그러나 로그 파일이 많은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여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로그 파일을 주기적으로 로테이션하여 디스크 공간을 절약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로그 로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로그 로테이션 설정 방법 로그 로테이션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로테이션을 적용할 로그 파일의 경로와 로테이션 주기, 로그 파일의 최대 크기 등을 설정해야 합니다. 로그 로테이션은 보통 로그 파일의 크기가 설정한 용량을 초과하거나 일정 기간이 지났을 때 자동으로 수행됩니다. 리눅스에서는 로그 로테이션을 위해 log.. 2023. 3. 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