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IT/Linux and RaspberryPi97

리눅스 명령어 top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top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top 명령어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top 명령어를 사용하면 CPU, 메모리, 가상 메모리 등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top 명령어 사용 방법 top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가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는 CPU 사용률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나타나며, 상단에는 시스템 전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됩니다. top 명령어를 실행한 후에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명령어를 입력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hift + P: CPU 사용률이 높은 순으로 프로세스를 정렬합니다. Shift + M: 메모리 사용률이 높은 순으로 프로세스를 .. 2023. 3. 5.
리눅스 해킹 흔적 찾기 리눅스 해킹 흔적 찾기 소개 리눅스는 오픈소스 운영체제로서, 대부분의 서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눅스도 보안에 취약한 면이 있어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해킹 흔적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그 파일 분석 리눅스에서는 시스템 로그 파일을 통해 시스템의 상태를 기록합니다. 이 로그 파일들은 대부분 /var/log 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커들은 로그를 삭제하려고 노력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완전히 삭제하지 못하고 일부 정보가 남게 됩니다. 따라서 로그 파일에서 이상한 접속 기록이나 시스템 오류 메시지 등을 찾아 해킹 흔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리눅스에서는 ps 명령어를 통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 2023. 3. 5.
리눅스 시스템에서 침입을 확인 리눅스 시스템에서 침입을 확인 소개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수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시스템 보안에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리눅스 시스템에서 침입이 발생할 경우 이를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로그 파일 확인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로그 파일을 통해 시스템에 접근한 사용자와 시스템에서 발생한 이벤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 파일의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var/log/ 로그 파일을 확인할 때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at /var/log/auth.log | grep "Failed" 위의 명령어는 auth.log 파일에서 "Failed"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로그만을 출력합니다. 이를 통해 .. 2023. 3. 5.
리눅스 Log 상태 확인 리눅스 Log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는 많은 서버 및 개발자들에게 인기 있는 운영체제입니다. 이는 안정성과 보안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리눅스 서버에서는 많은 로그 파일들이 존재하며,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시스템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로그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그 파일 위치 확인 리눅스에서는 많은 로그 파일들이 존재합니다. 로그 파일의 위치는 시스템마다 다르지만, 대부분의 로그 파일은 /var/log 폴더에 위치합니다. 이 폴더는 시스템 로그, 애플리케이션 로그, 커널 로그, 데몬 로그 등 많은 로그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로그 파일들은 파일 이름에 따라서 어떤 로그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 파.. 2023. 3. 5.
리눅스 mount / unmount 사용 방법 리눅스 mount / unmount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에서는 외부 디바이스나 네트워크 디렉토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mount와 unmoun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mount는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고, unmount는 연결된 파일 시스템을 해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ount와 unmount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ount 명령어 mount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연결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은 mount 명령어의 기본 사용 방법입니다. $ sudo mount [옵션] [장치명 혹은 디렉토리명] [마운트할 디렉토리] 장치명 혹은 디렉토리명을 마운트할 디렉토리에 연결합니다. 이 때,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USB 디바이스를 /mnt/usb 디렉토리에 마운트하고 싶다면.. 2023. 3. 5.
리눅스 Disk 상태 확인 리눅스 Disk 상태 확인 소개 리눅스 사용자라면, 시스템의 디스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디스크 상태 확인 1. df 명령어 먼저, df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 사용량과 가용 공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df -h 2. du 명령어 du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디렉토리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du -sh /path/to/directory 3. smartctl 명령어 smart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SMART(Self-Monitoring,.. 2023. 3. 5.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