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IT/Linux and RaspberryPi97 리눅스 명령어 zip/unzip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zip/unzip 사용법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는 여러 가지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이 중에서 zip과 unzip 명령어는 파일 압축과 해제를 위해 사용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zip과 unzip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zip 명령어 사용법 zip 명령어는 파일을 압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구문으로 사용됩니다. zip [OPTIONS] archive.zip file1 file2 file3 ... 위 명령어에서 OPTIONS은 zip 명령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의미합니다. 몇 가지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디렉토리를 압축할 때 사용합니다. q : 실행 중에 출력을 제거합니다. 9 : 최고 압축 레벨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curl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curl 사용법 소개 리눅스 명령어 "curl“은 URL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curl" 명령어의 사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curl" 명령어란? "curl" 명령어는 "Client URL"의 약자로, URL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HTTP, FTP, SMT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SSL 인증서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웹 사이트의 정보를 받아오거나, API를 호출하여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curl" 명령어 사용법 "curl"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창을 열고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lsof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lsof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lsof 명령어는 파일 디스크립터와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는 유틸리티입니다. 이 글에서는 lsof의 기능과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sof란 무엇인가? 'lsof'는 'List Open Files'의 약자로, 시스템에서 열린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열린 파일'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읽기' 및 '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파일 디스크립터입니다. lsof 사용 방법 lsof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정 프로세스에서 열린 파일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lsof -p [PID] 여기서 [PID]는 해당 프로세스의 ID를 의미합니다. 특정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보기 위해서는 다.. 2023. 3. 5. 리눅스 명령어 nc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nc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에서는 다양한 명령어들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nc (netcat) 명령어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nc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주요 옵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c 명령어 기본 사용법 nc 명령어는 "nc [option] [호스트] [포트번호]" 의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92.168.0.1의 호스트와 80번 포트를 연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c 192.168.0.1 80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192.168.0.1 호스트의 80번 포트로 연결됩니다. 이후에는 해당 호스트와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nc 명령어 옵션.. 2023. 3. 5. 리눅스 명령어 df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df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df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f 명령어란? df 명령어는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용량, 사용 가능한 공간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df 명령어 사용 방법 df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 df 이렇게 입력하면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용량 정보가 출력됩니다. 이때 출력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 시스템 1K-블록 사용 사용 가능 사용률 마운트 지점 또한, df 명령어에는 다양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 2023. 3. 5. 리눅스 명령어 free 사용 방법 리눅스 명령어 free 사용 방법 소개 리눅스 명령어 중 하나인 'free'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와 그 사용량, 그리고 버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free' 명령어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free 명령어 사용 방법 'free'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free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와 그 사용량, 그리고 버퍼 등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또한, 'free' 명령어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h' 옵션을 사용하면 출력 결과를 용량 단위로 표시해줍니다. free -h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와 그 사용량, 그리고 버퍼 등의 정보가 용량 단위로 표시됩니다.. 2023. 3. 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