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IT/Linux and RaspberryPi97 리눅스 명령어 userdel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userdel 사용법 소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사용자 계정 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지만,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것도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가 userdel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userdel 명령어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serdel 명령어란? userdel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뿐만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와 홈 디렉토리도 삭제할 수 있습니다. userdel 명령어 사용법 userdel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userdel [option] [username] 여기서 option은 명령어의 옵션을 의미하며, ..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adduser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adduser 사용법 소개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 하나가 'adduser'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adduser' 명령어를 사용하여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dduser' 명령어란? 'adduser'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 생성 시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줍니다. 'adduser' 명령어 사용법 'adduser'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터미널을 엽니다. 'adduser'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사용자 비..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su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su 사용법 소개 리눅스에서 su는 'Super User'를 의미하는데, 이는 루트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를 의미합니다. su 명령어는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su 명령어의 사용법 su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u -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까지 계속해서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su - [사용자 이름]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지정한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까지 계속해서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 su 명령어의 주의사항 su 명령어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할 사항이 ..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id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id 사용법 소개 리눅스 명령어 중에서 id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이름, UID, 그리고 그룹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d 명령어 사용법 id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 id [옵션] [사용자명] 옵션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다음은 id 명령어를 사용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인 bob의 정보를 확인하는 예시입니다. id bob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됩니다. uid=1000(bob) gid=1000(bob) groups=1000(bob),4(adm),24(cdrom),27(sudo),30(dip),46(plugd..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systemctl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systemctl 사용법 소개 리눅스에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systemd를 사용합니다. systemctl은 systemd에서 제공하는 명령어 중 하나로, 시스템 서비스를 시작하고 중지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ystemctl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ystemctl 명령어 systemctl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systemctl [OPTION...] COMMAND [NAME...] systemctl start systemctl start 명령어는 지정한 서비스를 시작하는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아파치 웹 서버를 시작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ystemctl start httpd systemctl stop syst.. 2023. 3. 10. 리눅스 명령어 uptime 사용법 리눅스 명령어 uptime 사용법 소개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는 시스템의 부하, 운영 시간, 접속된 사용자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많은 명령어가 있습니다. 이 중 uptime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이 얼마나 오랫동안 켜져 있었는지, 시스템의 부하가 어떤지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명령어 uptime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ptime 명령어란? uptime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출력합니다: 16:32:28 up 10 days, 3:05, 1 user, load average: 0.00, 0.01, 0.05 이 결과에서 첫 번째 열은 현재 시간을 나타내고, up 다음의 숫자는 시스템이 켜진 시간을 일(day)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 다음의 숫자는 시스템이 켜진 시간을 시:분.. 2023. 3. 10.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 LIST